한국의 여성 (2)-1 1980년대 치맛바람

치맛바람! 요즘에는 많이 쓰진 않지만 1980년대에는 많이 쓰였던 말이다. 엄마들이 자녀의 교육을 위해 학교와 사설 학원등을 다니며 관여하는 것을 빗대어 ‘치맛바람을 일으키며 다닌다’ 라고 그 당시 극성 엄마들의 행태를 비꼬아서 부르던 말이다. 지금도 한국엄마들의 교육열은 대단하지만 1960년대 이후 부터 엄마들의 교육열은 엄청났었다. 1980년대 전두환 정권에서 과외금지령이 내려졌을 정도로 사교육은 단순히 ‘교육열’을 넘어선 사회문제가 될 정도였으니까.

강남 8학군의 학교에 보내기 위해 주소지 변경, 이사 등은 말 할 것도 없었고, 이로 인해 강남 8학군의 학교들은 학생들로 넘쳐났다. 지금이야 없어진 모습이지만 그 당시의 엄마들은 소위 말하는 ‘SKY (Seoul대학교, Korea 고려 대학교, Yonsei 연세 대학교)에 보내기 위해 강남 8학군으로 가야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사실 나는 어려서 기억을 잘 하진 못하지만 내 큰 어머니도 강남의 8학군으로 자녀들을 보내기 위해 어린 사촌 오빠들을 데리고 이사를 간 ‘극성엄마’ 였었다. 물론 강남 8학군 효과는 그리 크진 못했지만.

9750aae7f9654f8eb10655cb80a79e87

1988년, 비밀 고액 과외를 하던 개인교사들이 경찰소로 연행되는 모습
이미지 출처는 경향신문, <http://news.zum.com/articles/25543690>

그 당시의 엄마들은 (아줌마들) 좋은 대학이 편안하고 성공한 인생을 보장해 준다고 믿고 있었다. 사실 지금도 ‘좋은 대학’ 은 ‘성공한 인생’ 이라고 보는 시각이 여전하긴 하다. 물론 일부. 따라서 ‘좋은 스펙’을 따기 위해 모든 걸 다 바쳐, 그게 불법 고액 과외라고 할지라도, 좋은 대학에 보내야 하는게 엄마로서의 도리였고 역할이자 꿈 이었던 것이다. 내가 대학에 갈 때는 불법 과외같은 건 없었지만 (암암리에 있었을지도) 쪽집게 과외라고 불리우는, 시험에 나오는 것만 쪽집게처럼 뽑아서 알려준다는 과외, 것을 주위 몇몇 친구들이 하기도 했었다.

43themes3_bg03.jpg

1980년대의 대학입학 시험장 풍경. 지금도 그렇지만 엄마들은 자녀의 시험이 치뤄지는 동안 내내 저렇게 교문앞에 서서 기도를 했다. 힘든것도 추운것도 모른 채, 그렇게 계속 기도를 했다.
이미지 출처는 Samsung & You Premium, <https://www.samsungnyou.com/7486/>

이러한 한국 엄마들의 교육열은 시대가 많이 변한 지금도 여전하다. 좋은 대학에 보내기 위해 유치원때부터 엄마들의 교육열은 시작되고, 그 방식은 예전보다 좀 더 체계적이고 ‘스마트’해지고 있다. (스마트 해졌다는 것은 지금의 엄마들은 스마트기기들을 통해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고 습득한다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역시 과도한 교육열을 가진 ‘헬리콥터 맘’ 이나 ‘캥거루 맘’ 들은 자녀들의 삶에 너무 깊게 관여해서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자녀들이 자신들의 삶을 잘 살 수 있도록 옆에서 조언을 해주고 도움을 주는 ‘힌트’를 주는게 아니라, 바로 ‘정답’을 알려주다 보니 자녀들은 ‘부모가 원하는 삶’을 살고 있게 되는 것이다.

 

365_331_2817

헬리콥터 맘, 이미지 출처는 <http://www.opnews21.com/news/articleView.html?idxno=365>

6989811.1

캥거루 맘, 이미지 출처는 <http://news.donga.com/3/all/20061121/8375428/1>

1980년대 이래로, 한국의 여성들은 “프로 엄마” 그리고 “프로 주부”의 역할을 동시에 해내고 있다. 이전의 글에서 말했던 것처럼 우리의 엄마, 아줌마들은 ‘수퍼우먼’이다. 모든것을 다 해내는 수퍼우먼. 하지만 나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서 한국의 여성, 특히 아줌마들이 단순히 ‘프로 엄마’ 혹은 ‘프로 주부’의 역할을 하는 수퍼우먼이 아닌, 아줌마로서의 삶, 여성으로서의 삶을 즐기고 있음을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싶다. 여성은 엄마 혹은 주부 (아내)가 아닌 하나의 ‘인간’으로서 살고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스마트해진 치맛바람, 디지털 치맛바람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볼것이다.

아줌마 vs 누나

2015년이 지나가고 2016년이 되었다. 2015년 12월부터 시작한 이 블로그는 아줌마에 대한 내 PhD연구의 일환으로 논문으로 쓰여진 내용보다는 보다 우리 일상속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아줌마의 다양한 모습에 대해 기록하고, 그러한 내 글을 읽는 (특히) 아줌마들 그리고 아줌마가 아닌 사람들과의 소통을 통해 우리가 그저 지나쳤던 아줌마들에 대해서 조금이나마 알아갈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시작하게 되었다.

이 블로그에 와서 제 글을 읽어주시는 분들 모두 새해 복 듬뿍 받으시길 바라고 많이 와서 개인적인 생각이나 의견을 함께 나눠주시길 바랍니다.

(블로그에 올리는 글은 읽기 편하도록 존대말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오늘은 남대문 시장에 다녀왔다. 남대문 시장은 어렸을때부터 엄마손을 잡고 쫓아가던 곳이었다. 골목골목 숨어있는 가게들, 특히 지금은 마트나 집앞 나들가게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일명 ‘수입과자’를 팔던 남대문의 도깨비 시장은 어린시절 나에게 신세계였다. 다행히도 집앞에서 버스 한번만 타면 남대문시장 까지 갈 수 있고, 또 남대문 시장에 가서 구경을 한 뒤에 지하도의 가게들과 명동을 가로질러 구경하는 재미는 꽤 크기 때문에 나는 남대문 시장에 가는걸 매우 좋아한다. 그래서 오늘도 갔다.

신세계 지하를 지나서 남대문의 여성복 (특히 중년여성을 위한 옷가게가 빼곡하게 들어서있는)을 파는 00프라자에 갔다. 사실 이 곳은 평일오전에 가면 발 디딜 틈 없이 아줌마들로 가득찬 곳이다. 내 또래의 (30대) 여성은 찾아보기 힘들고, 남성분들은 아예 없다고 봐도 된다. 00프라자의 입구에 들어서면 우선 모두 같은 스타일의 머리를 한 비슷한 키와 체형을 가진 아줌마들이 옴닥옴닥 붙어서 이 옷 저 옷을 서로 구경하고 있는 모습이 눈에 들어온다. 이 곳의 느낌을 좀 더 자세하게 표현하자면, 마치 대한민국의 50대 이상의 아줌마들만 모아 놓은 듯 하다. 그리고 수많은 아줌마들을 보면서 드는 생각은, ‘이 아줌마들은 모두 어디서 오셨을까? 아줌마들만 사는 별이라도 존재하는건가?’ 싶을 정도로 정말 너무 매우 퍽 비슷한 ‘아줌마’들로 꽉 찬 곳이다.

Screen Shot 2016-01-04 at 6.40.21 PM

Screen Shot 2016-01-04 at 6.40.15 PM

오늘은 내가 좀 늦게 도착한 탓에 바글바글한 아줌마들의 모습을 볼 수 없었다.*참고로 그곳은 오후 1시 30분에 문을 닫는다. 할 수 없이 그곳의 계단을 올라오면 바로 팥죽을 파는 가게가 있는데, 점심 때가 좀 지난시간이라 배도 채울 겸 그 가게에 가서 팥죽 하나를 시켰다. 마땅히 앉을 테이블이나 의자는 없는 가게지만 팥죽을 사가지고 먹을 수 있는 은행옆 난간에 자리를 잡았다, 매우 자연스럽게. 팥죽을 막 뜨려는 순간 아주 재미있는 풍경이 펼쳐졌다.

젊은 남성이 그 곳에서 팥죽을 먹으러 모여든 아줌마들을 상대로 화장품을 팔고 있었다. 50대는 훌쩍 넘은 60대의 아줌마들에게 그 젊은 남성은,

“누나! 누나는 얼굴은 이쁜 얼굴이야! 근데 왜 안가꿔!! (화장품을 들어보이며) 이거 에센스랑 영양크림인데 한번 발라봐! 10년은 더 젊어지겠네 누나!!”

팥죽을 먹으며 그 젊은 남성에게 집중하는 아줌마들은 소녀처럼 깔깔 거렸고 그 중 한명이 그 화장품을 구입했다. 화장품을 구입한 아줌마는 그 젊은 남성에게 기념으로 셀카를 찍자고 했고 그 아줌마는 친구들에게 자랑할거라며 연신 웃어댔다. (사실 그 젊은 남성은 유명하진 않지만 티비에 종종 볼 수 있는 코미디언 이었다. ) 화장품을 판 그 젊은남자는 “누나들 다음에 또 봐요!” 하며 사라졌고 팥죽을 먹던 아줌마들은 다시 팥죽을 먹으며 그 코미디언 이야기를 이어갔다. 그 옆에 앉아서 조용히 구경하던 나도 다시 팥죽을 먹으며 킥킥 거렸다. 너무 재밌지 않은가? 이 상황이?

아줌마들의 아지트라고 볼 수 있는 그 00프라자 옆의 팥죽가게 옆 난간에 옹기종기 모인 아줌마들과, 그 앞에서 ‘어머니’뻘의 아줌마들에게 ‘누나’라고 부르며 화장품을 파는 젊은 남성. 그리고 같이 웃고 떠들며 화장품도 발라보고 구입도 하고 또 같이 셀카도 찍으며 즐거워한 우리 아줌마들!

그래, 아줌마도 여자다. ‘아줌마! 이거 발라봐!’ 라고 했다면 과연 그 화장품이 잘 팔렸을까? ‘누나!’ 라는 말에 아줌마도 기분좋아진 것이다. 아들뻘인 그 젊은 남성이 불러주는 ‘누나!’ 라는 말이 아줌마들을 기분좋게 만들어 화장품을 팔려고 하는 속셈, 즉 마케팅 전략임을 다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누나’라는 말과 친근하고 상냥하게 화장품에 대해서 설명도 해주고 수다도 떨어준 그 젊은 남성의 화장품을 사고 또 다함께 웃고 떠들수 있었던 것이다.

 

Screen Shot 2016-01-04 at 6.40.26 PM

Screen Shot 2016-01-04 at 6.40.33 PM

남대문에 가면 많은 사람들을 볼 수 있고 활기찬 시장모습에 나도 살아있음을 느낀다. 특히 내가 좋아하는 ‘아줌마들’을 볼 수 있어서 자주 가게 된다. 가끔은 눈살이 찌뿌려질때도 있고 때로는 집에와서도 생각이 날 정도로 즐겁게 해주는 다양한 아줌마들을 볼 수 있어서 좋다. 누나 라고 불려지면 좋아하는 아줌마들. 왜 아줌마라는 말은 여성들이 불려지길 원하지 않는 단어가 되었을까?

Screen Shot 2016-01-04 at 6.40.05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