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과 빨래터의 6가지 공통점

다양한 필드리서치를 통해서 알게된 점은 바로, 아줌마들은 카카오톡 이라는 모바일 채팅 앱을 통해서 아줌마들만의 독특한 소통 방식을 스마트폰이라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기기를 통해 그들만의 커뮤니티를 더욱 더 단단하게 만들어 가고 있다는 점 이었다. 이러한 발견을 통해 나는 아줌마와 카카오톡의 사용에 관한 중점적인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따라서 카카오톡에 관한 일차원적인 연구보다는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는 연구를 하고 싶었기에 다양한 방법과 시각으로 카카오톡에 관해 접근해 보았다.

카카오톡은 다양하게 쓰여지고 있다. 단순한 모바일 채팅을 하게끔 해주는 앱이 아닌 그 보다 더 깊게 그리고 넓게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이라는 공간을 통해 여러 방식의 소통을 하게 해주는 공간을 제공한다. 카카오톡 그룹 채팅룸을 하나의 공간으로 생각해 보면 매우 흥미로워진다. 수다를 떨고, 특별한 날에는 서로의 안부인사를 주고 받으며 (크리스마스, 새해인사 등) 때로는 생일을 축하하는 파티의 장으로 변하기도 한다. 물론 직접적으로 만나 축하를 하는 장소가 될 수는 없지만, 스마트폰과 카카오톡을 통해서만 할 수 있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예를 들어 기프티콘을 생일 선물로 준다거나 생일축하 영상 메세지를 비디오톡을 통해 보여주거나 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우리들은 카카오톡이라는 모바일 공간에서 실생활과 거의 비슷한 일들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특히, 필드 리서치를 통해 알게된 아줌마들의 카카오톡 사용은 정말 대단했다. 즉각적인 모바일 소통에 중점을 둔 다른 일반 (아줌마가 아닌) 카카오톡 사용자들과 달리, 아줌마들은 즉각적이지만 관계가 더더욱 깊어질 수 있는 즉, 즉각적이나 지속적인 모바일 소통을 카톡이라는 앱을 통해 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아줌마들의 카톡을 통한 적극적인 소통은 과연 오늘날에 갑자기 생겨난 것일까?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 물론 새로운 디지털 기기인 스마트폰이라는 것은 오늘날에 생겨난 ‘새로운 것’ 이지만 사실 스마트폰은 모바일 소통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기혹은 도구라고 생각이 든다. 스마트폰이 더 활발하고 더 편리한 모바일 소통을 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도구이지만 그 ‘도구’를 사용하여 스마트한 소통을 할 수 있게 되는건 그 소통을 만들어가는 사람들 자신의 몫인 것이다. 따라서 아줌마들의 카톡사용을 통한 아줌마들만의 그리고 아줌마스러운 모바일 소통은 과연 어디서 온 것일까에 대한 질문을 나에게 끊임없이 했고 결국 ‘빨래터’라는 곳이 생각이 나게 되었던 것이다.

빨래터와 카카오톡의 상관관계에 대한 이야기는 앞으로도 계속 할 예정이기에 오늘은 이 둘 사이에 어떠한 공통점이 있는지 알아보자.

빨래터와 카카오톡의 6가지 공통점

 

1. Tranformation: 목적에 따라 그 장소의 역할이 변화할 수 있다

2. Keep in touch: 빨래터와 카톡 단체방의 구성원들끼리 계속 연락을 하며 지낼 수 있다

3. Women’s place: 여성의 공간

4. A notice board: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게시판의 역할

5. A bridge: 지난 모임과 앞으로 있을 모임을 연결해 주는 다리와 같은 역할

6. Pop-up communication: 특별한 약속이 없더라도 카톡에서나 빨래터에서 우연히 만나서 이야기 할 수 있다. 카카오톡 단체톡방 그리고 빨래터에 오는 사람들은 거의 늘 같은 사람들이라서 빨래터에 가면 혹은 카카오톡 단체톡방에 들어가 있으면 그 사람들과 특별한 약속없이도 소통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Transformation: 다양하게 사용되어지는 두 공간

1960년대의 빨래터 모습

Screen Shot 2016-02-29 at 11.40.05 AM.png

카카오톡 단체 톡방의 모습

Screen Shot 2016-02-29 at 11.40.55 AM.png

빨래터와 카카오톡 단체톡방의 6가지의 공통점 중에서 첫 번째 공통점인 Transformation, 즉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바뀌는 공간에 대해 사진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나머지 5가지에 대한 내용은 지난 블로그 포스팅들에서 종종 이야기 한 바가 있어서 이번에는 Tranformation에 관한 내용만 다루었다. 앞으로 디지털 빨래터 프로젝트에 대한 이야기를 계속 풀어나가면서 빨래터와 카카오톡 단체톡방에 관한 이야기는 자주 언급될 것이기에 오늘의 포스팅에서는 이렇게만 우선 이야기해 보았다.

 

카카오톡과 아줌마 (2)

‘전화 좀 받아!’ 친구들의 원성이 잦다. 사실 나는 전화 받기와 전화 걸기가 상당히 불편하다. 전화를 받고 거는 일이 뭐가 어려운 일이겠느냐 만은, 나에게 전화를 받고 거는 일은 어려운 일은 전혀 아니고 단지 귀찮고 불편한 일이 되어버린 지 꽤 오래다. 외국에 혼자 나가 있으면서 전화를 할 일이 줄어 들었고, 동시에 전화가 올 일도 거의 없었다. 내가 필요한 곳에 연락을 해야하거나 혹은 간단한 sms를 주고 받아야 하는 경우에만 쓰여진 휴대전화, 모바일이라고 하는 그것을 통해 전화를 걸고 받는 일이 어색해져 버렸다.

매번 같은 이유로 전화를 못받았다고 해 봐도 사실 듣는 사람들에게는 구차한 변명으로 들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정말로 나는 내 휴대전화와 늘 같이 있지도 않고, 책상에 두거나 가방안에 놔두거나 하고 전화가 오는것에 별로 관심이 없다. (많이 오지도 않고) 그리고 또 한 가지 이유는, 메시지로 이야기하는게 더 편하다. 물론 글로 전달되는 메시지는 때때로 오해를 불러올 소지가 있기도 하지만, 메시지를 통해 전하는 내용이 객관적으로 전달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더 크다, 적어도 나에겐. 다른 일로 기분이 쳐져 있거나 혹은 반대로 너무 기분이 좋아서 미쳐버릴때 전화가 오면 그러한 감정이 고스란히 전해지게 되는데, 그러한 ‘날 감정’이 전해지는게 나는 가끔 불편하다.

그리고 또한 메시지는 다른 사람들과 있을때나 내가 무슨 일을 할때 분위기와 흐름을 끊지 않고 조용히 메시지만 보내고 또 다시 그 분위기 속으로 들어올 수가 있지만, 전화로 이야기를 하게 되면 분위기와 흐름이 끊기게 되더라. (이렇게 이야기 하고 보니 내가 무슨 ‘전화 거부녀’ 같은 느낌이 들지만. 뭐 아무튼, 포인트는 나는 전화보다는 메시지로 이야기하는게 (전과 비교 했을 때) 더 편하다는 이야기이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전화가 불편하다는 뜻은 아니고, 반드시 필요한 전화 즉 전화로 이야기를 지금 당장 해야하는 경우에는 전화를 해도 전혀 불편하지 않다.

전화 혹은 메시지로 소통하는것에 대한 내 개인적인 의견이 길어졌다. 내가 이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바로 카톡에 관한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이다. 카톡! 나는 카톡이 참 편하고 좋다. 카톡이 있기 전에 우리는 문자 (sms)로 ‘문자소통’을 했었다. 카톡을 사용하고 나서 그 편리함에, 특히 나같이 ‘문자성애자’같은 사람들에게는 정말 대단한 앱이 나타났구나 라고 생각이 들었다. 해외에서 그것도 실시간으로 한국에 있는 내 친구와 가족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니!! 게다가 공짜!

이 카톡은 날로 발전하더니 이제는 보이스톡 비디오톡등의 어마어마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내가 매주 가던 중국아줌마가 하는 국제전화카드 파는 곳에는 몇 년 전부터 전혀 갈 일이 없게 되었고, 전화를 들고 전화카드 번호를 넣고 다시 한국의 전화번호를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도 사라진 지 오래. 카톡에서 우리엄마를 선택해서 보이스톡 버튼을 누르면 성당에서 아침미사를 마치고 나오는 우리엄마, 남대문 시장 도깨비시장에서 구경하고 있는 우리엄마, 친구들과 당구치러 가신 우리아빠를 바로 만나 뵐 수 있다. 아이신기하고신기한이세상!

 

참고이미지-1-카카오톡-4.0-스플래시-이미지카톡은 이제 더 이상 ‘신기하고 편리한 우와 대단한 모바일커뮤니케이션 앱’이 아니다. 카톡은 자연스럽게 우리의 일상생활 속의 소통 도구로 자리 잡은 지 이미 오래고, ‘카톡하자’는 이제 ‘이메일하자’ 혹은 ‘전화하자’보다 더 자연스러운 것이 되어버렸다. 카카오톡에서 아까 얘기했던 그것들을 이야기 해 볼까? 라고 길게 이야기할 필요도 없다. 그저 ‘카톡해’라고 하면 모든 뜻이 다 들어가 있으니까.

한국사람들은 축약형 단어를 굉장히 좋아한다. 카카오톡이 사실 긴 단어도 아닌데 카톡으로 줄였고, 그 외에 요즘 ‘청소년’들이 많이 쓰는 단어들만 봐도 이러한 축약형이 어마어마 하다. (가끔 아니 꽤 자주, 그들이 사용하는 축약형 단어가 뭔지 몰라서 인터넷으로 검색을 해봐야 하기도 한다…) 물론 이런 축약형 단어가 우리나라에만 있는건 아니고 호주에도 있고 다른 나라에도 많이 있다. 아마도 단시간에 짧고 굵게 이야기해야하는 인터넷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발달로 인해 그렇게 된 것 같기도 하고. (정확한 레퍼런스를 찾지 않아서 확신할 수는 없으나 유추는 되는)

아무튼, 뭐 말도 안되는 축약형 단어는 나는 쓰고 싶지도 않고 이해도 안되는 경우가 많지만 예를 들어 ‘카톡하자’ 등과 같은 축약형은 너무 재미있고 매우 한국적이라서 좋다. 셀프카메라도 셀카라고 하지 않았는가? 물론 지금은 Selfie 라고 하지만 나는 아직도 셀카라는 단어가 더 정감가고 좋다. (셀카 Sel-Ca에 관한 논문도 있다, 한국인들의 셀카문화에 관한 재미있는 논문) 이렇듯 카톡은 카카오톡을 단순히 입에 담기 쉽게 줄인 단어이지만, 카톡하자! 이 짧은 문장엔 한국사람들의 현재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행태에 대한 모든것들이 들어있다. 그래서 카톡, 카톡하자 라고 하는 이러한 우리만의 문화가 재미있고 색다르게 다가오는 것이다.

스마트폰이 있기 이전의 시대, 즉 프리 스마트폰시대 (pre-smartphone era)에는 직접적인 소통방법이 거의 대부분이었다. 모바일폰이 있었어도 우리는 목소리를 통해 이야기했고, 문자소통은 이메일과 문자 (sms) 뿐이었다. 하지만 많은것이 바뀌고 있다. 지금도 계속해서. 우리는 이제 카톡을 하고 카톡을 통해 더 다양한 것을 꿈꾼다. 카톡에 관한 논란은 아직도 계속 되고 있긴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건 지금 우리는 카톡을 통해  소통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음에는 아줌마들이 카톡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