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아줌마 인가?

대한민국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던, 또 여전히 해오고 있는 우리의 아줌마들. 그네들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부정적 시각을 조금이나마 긍정적 방향으로 전환 시키고자 시작한 연구이다.
단순히 오지랖 넓고 언밸런스한 패션 센스의 나이 든 여성이라 치부 하기에는, 이 사회를 위해 희생하며 살아온 시간이 너무 긴 그들. 그동안 우리는 겉으로 나타나는 모습만 보고 있었던건 아닐까?
수잔 손탁의 말 처럼, 이제는 겉에서 ‘바라보기’가 아닌, 깊숙이 ‘들여다 보기’가 필요한 때 인 것 같다.
아줌마, 그들을 주의 깊게 바라봄으로써 우리가 미처 몰랐던 부분을 알게 되고, 그로 인해 아줌마에 대한 새로운 정의 또한 내릴 수 있을 것이다.

Why ajummas?

The ajumma is one of the most misunderstood categories in Korean culture. Roughly translated as a woman that is married and middle-aged, the ajumma is one of the most stigmatized demographics in Korea today. This thesis seeks to undercover some of the complex ways in which we might redefine the ajumma as a woman that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Korean culture post IMF bailout in 1997. Through exploring ajummas as new media users, this thesis not only seeks to debunk the stereotypes around the category but also to provide a more nuanced study of gendered new media practice beyond the young-new media “digital natives” conflation in one of the countries lauded for new media innovation, Korea. This thesis deploys an interdisciplinary model of the research that combines academic practices (e.g. a dissertation) and creative practices (e.g. Digital Ppal-let-ter video project).